[Computer Architecture] 컴퓨터의 기본 구조와 기능
🖥️ 컴퓨터의 기능과 구성
🛠️ 컴퓨터의 주요 기능
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네 가지가 있다.
- 데이터 처리:
컴퓨터는 다양한 연산 작업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한다. - 데이터 저장:
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며, RAM 같은 내부 기억장치와 하드 드라이브나 SSD 같은 외부 기억장치로 나뉜다. - 데이터 이동:
데이터를 입력 장치에서 받아 출력 장치로 전달하며, 입출력(I/O)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. - 제어:
컴퓨터 내부에서는 제어 유니트(control unit)가 명령어에 따라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하고, 모든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조정한다.
🔍 컴퓨터의 로직
- 중앙처리장치(CPU):
컴퓨터의 핵심 장치로, 명령어를 실행하고 계산을 담당한다.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들을 수행한다. 간단히 프로세서라고 부르기도 한다. - 주기억장치(Main Memory):
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, CPU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. - 입출력 장치(I/O):
컴퓨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장치로, 데이터를 입력하고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. -
시스템 상호연결(System interconnection):
CPU, 주기억장치, 입출력 장치 등을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로, 이들 사이에서 데이터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지원한다.
🧩 컴퓨터의 구성 요소
🧰 주요 부품들
- 메인보드:
공통의 버스 배선과 인터페이스 회로를 모아 놓고 슬롯 형태의 작은 보드를 꽂아 사용하는 기판 구조에서 어미가 되는 기판이다. 컴퓨터의 모든 부품이 연결되는 기판으로, 여러 부품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. - CPU:
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며, 컴퓨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. - RAM:
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며, CPU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. - 칩셋:
CPU와 다른 하드웨어 부품 간의 통신을 제어하며,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높인다. - 보조기억장치(HDD, SSD):
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로,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없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보관한다.
🧠 중앙처리장치(CPU)
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한다.
- 산술 논리 연산 장치(ALU):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담당한다.
- 제어 장치: 프로그램의 명령어가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관리한다.
- 레지스터: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며, CPU가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.
💾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
- 주기억장치(RAM): 수행 중인 프로그램과 이를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장치
-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진다.
- 비교적 CPU에 접근 속도가 빠르며 많은 용량을 기억한다.
- RAM(Random Access Memory)이 주로 사용한다.
- 보조기억장치(HDD, SSD): 외부 기억 장치
-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보존한다.
- 중앙처리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,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는 주기억장치로 이동된 후 처리된다.
- 주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고 저장 용량이 크지만,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다.
- 자기테이프, 자기디스크, CD-ROM, DVD, Flash Memory, 광디스크
💻 소프트웨어
정보의 이동 방향과 정보처리의 종류를 지정하고 그러한 동작들이 일어나는 시간을 지정하는 명령들의 집합이다.
⚙️ 시스템 소프트웨어
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이다.
- 운영체제: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,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한다.
- 디바이스 드라이버: 하드웨어 장치가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이다.
- 컴파일러 & 인터프리터: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.
🔧 집적회로
집적 회로는 전자 회로의 여러 부품들을 하나의 칩에 집적하여 만든 전자 회로이다.
📈 무어의 법칙(Moore’s law)
무어의 법칙은 집적 회로의 트랜지스터 수가 약 2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다.
- 컴퓨터 크기 감소: 집적 회로의 발전으로 컴퓨터의 크기가 작아졌다.
- 속도 향상: 논리 회로와 기억 소자들이 가까워져 전기적 통로의 길이가 줄어들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졌다.
- 신뢰성 증가: 집적 회로 내에서의 연결이 납땜 연결보다 신뢰성이 높아졌다.
- 비용 효율성: 집적도가 높아지면서 칩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았다.
- 전력 소모 감소: 집적 회로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.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