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Linux] 리눅스 기초
운영체제인 리눅스의 기본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.
🐧 리눅스란?
리눅스(Linux) 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되고, 소스 코드가 공개된 오픈 소스 기반의 운영체제이다.
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이므로 대화식 운영체제, 다중 작업 가능, 다중 사용자 가능, 이식성, 계층적 트리 구조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.
⚙️ 리눅스의 주요 특징
-
오픈소스
리눅스는 무료이며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다.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, 수정, 배포할 수 있다.
-
안정성과 보안성
리눅스는 서버 환경에서 검증된 안정성을 자랑한다. 메모리 관리가 우수하고, 바이러스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며, 권한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.
-
멀티태스킹과 멀티유저
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,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.
-
CLI
터미널을 통한 명령어 기반 조작이 강력하다. GUI보다 빠르고 정확하며, 자동화에 적합하다.
📜 리눅스/유닉스 역사
-
리눅스의 역사
- 1991년 핀란드 헬싱키대 학생 리누스 토르발스가 유닉스 호환 커널을 개발 및 공개한 프로젝트이다.
- 오픈소스(GPL)로 채택되어 전 세계 개발자들과 공동 개발이 이루어졌다.
- 무료이며 자유로운 배포가 가능하여 Ubuntu, Red Hat 등 다양한 배포판으로 진화하였다.
- 서버, 데스크탑, 임베디드, 모바일 등으로 폭넓게 확산된 운영체제이다.
-
유닉스의 역사
- 1969년 AT&T 벨 연구소에서 켄 톰프슨, 데니스 리치 등이 개발을 시작한 운영체제이다.
- 다중 사용자와 멀티태스킹 기능이 강점인 시스템이다.
- 1970~80년대에 BSD, Solaris, AIX 등 다양한 파생 운영체제로 발전하였다.
- 상업용, 제한 라이선스를 바탕으로 주로 학계와 대형 시스템에서 영향력을 지닌다.
구분 | 유닉스(UNIX) | 리눅스(Linux) |
---|---|---|
개발 시기 | 1969년, AT&T 벨 연구소 | 1991년, 리누스 토르발스 |
배포 방식 | 상용 및 제한적 라이선스, 폐쇄적 배포 | 오픈소스, 무료 사용 및 배포 |
시스템 구조 | 커널+유틸리티 등 전체 구성 제공 | 커널 중심, 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결합 |
발전 방향 | BSD, Solaris 등 상업 및 학술 배포로 분화 | Ubuntu, Fedora 등 다양한 오픈소스 배포로 발전 |
사용 분야 | 서버, 학술, 대형 시스템 중심 | 서버, 데스크탑, 모바일, 임베디드 등 다양화 |
라이선스 | 주로 상업용 | GPL 등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|
사용자 친화성 | 상대적으로 복잡, 제한된 인터페이스 | 다양한 GUI 환경 및 초보자용 배포판 다수 존재 |
🟠 Ubuntu란?
Ubuntu는 리눅스 기반의 대표적인 운영체제 배포판 중 하나이다.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.
⭐ Ubuntu의 특징
-
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
우분투는 깔끔하고 직관적인 GUI를 제공해 리눅스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. -
정기 업데이트
6개월마다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고, 장기 지원(LTS) 버전은 5년간 보안 업데이트와 유지보수를 제공한다. -
소프트웨어 호환성 및 패키지 관리
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본 저장소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, apt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편리하게 소프트웨어를 관리할 수 있다.
🆚 Ubuntu Desktop vs Server
Ubuntu는 Desktop용과 Server용 버전을 제공한다.
-
Ubuntu Desktop
- 일반 사용자용 그래픽 인터페이스(GUI)를 제공한다.
- 문서 작업, 인터넷 사용, 개발, 멀티미디어 등 일상적인 컴퓨터 작업에 적합하다.
-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
-
Server
- GUI가 없거나 최소화되어 있어 가볍고 자원 효율적이다.
- 웹 서버, 데이터베이스 서버, 클라우드 서비스 등 서버 역할에 최적화되어 있다.
- 원격 접속과 관리가 편리하도록 설계되었다.
📁 리눅스 파일 시스템
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트리 구조로 되어 있으며, 모든 것이 루트 디렉토리(/) 아래에 위치한다.
🗂️ 주요 디렉토리 구조
-
/
모든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
-
/home
사용자들의 개인 디렉토리가 위치
/home/username/
-
/usr
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위치
/usr/bin/ # 실행 파일들 /usr/lib/ # 라이브러리 파일들 /usr/share/ # 공유 데이터
-
/var
변경되는 데이터들이 저장
/var/log/ # 시스템 로그 /var/www/ # 웹 서버 파일들 /var/tmp/ # 임시 파일들
-
/etc
시스템 설정 파일들
/etc/passwd # 사용자 정보 /etc/ssh/ # SSH 설정 /etc/crontab # 스케줄러 설정
-
/bin
과/sbin
기본 명령어들이 위치
/bin/ # 일반 사용자 명령어 /sbin/ # 시스템 관리자 명령어
-
/tmp
임시 파일들이 저장
-
/dev
하드웨어 장치들에 대한 파일들
다음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정리할 예정이다.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