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Operating Systems] 파일 시스템 기본 개념
파일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파일, 디렉토리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
💽 파일 시스템이란?
파일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데이터를 정리하고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.
사용자가 파일을 쉽게 찾고 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,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다.
우리가 문서나 사진을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는 것도 모두 파일 시스템 덕분이다.
🎯 파일 시스템의 주요 역할
-
데이터 저장 및 관리: 하드디스크, SSD 등에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
-
파일 접근 제어: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 관리
-
메타데이터 관리: 파일 이름, 크기, 생성일 등의 정보 저장
🗂️ 파일과 디렉토리
📄 파일(File)
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다.
텍스트, 이미지, 실행파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.
- 이름: 파일을 식별하는 고유한 이름
- 확장자: 파일의 형식을 나타내는 접미사 (.txt, .jpg, .exe 등)
- 크기: 파일이 차지하는 저장 공간의 양
📁 디렉토리(Directory)
디렉토리는 파일들을 그룹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컨테이너이다.
폴더라고도 불리며 계층적으로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.
/
├── home/
│ ├── user1/
│ │ ├── documents/
│ │ └── pictures/
│ └── user2/
├── etc/
└── var/
📊 텍스트 파일 vs 바이너리 파일
컴퓨터에서 저장되는 파일은 크게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로 나뉜다.
두 파일은 저장 방식, 읽는 방법, 용도에서 차이를 보인다.
📝 텍스트 파일
텍스트 파일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.
보통 아스키(ASCII)나 유니코드(UTF-8) 같은 문자 인코딩을 사용하며, 각 문자는 특정한 숫자로 매핑된다.
메모장, VSCode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쉽게 열 수 있고, 줄 단위로 데이터를 구성한다.
Hello, World!
This is a text file.
🔢 바이너리 파일
바이너리 파일은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이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.
사람이 직접 읽기는 어렵고 특정한 프로그램이나 포맷에 맞춰 해석되어야 한다.
주로 이미지, 영상, 실행 파일, 압축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일반 텍스트 에디터로 열면 깨진 문자처럼 보인다.
📋 비교 표
구분 | 텍스트 파일 | 바이너리 파일 |
---|---|---|
내용 구성 | 문자 (텍스트) | 이진 데이터 (0과 1) |
읽기 도구 | 텍스트 에디터 | 전용 프로그램 |
용도 | 코드, 문서, 설정 | 이미지, 영상, 실행 파일 등 |
가독성 | 사람이 읽고 편집 가능 | 기계만 해석 가능, 사람이 읽기 어려움 |
예시 확장자 | .txt , .html , .csv |
.jpg , .exe , .pdf , .mp4 |
Leave a comment